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6

우주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시간 단위 우주를 공부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부딪히는 벽이 있습니다.바로 '단위'라는 벽입니다.지구에서는 초, 분, 시간처럼 익숙한 시간 단위와미터, 킬로미터 같은 거리 단위를 사용합니다.하지만 우주로 들어가면 이런 기준들은 전혀 통하지 않습니다.우주의 스케일은 너무나도 커서, 일상적인 단위로는 표현이 불가능하죠.천문학 책을 처음 펼쳤을 때 ‘광년’이라는 단어를 보고, 그게 시간인지 거리인지 혼란스러웠던 기억이 납니다.'빛의 속도는 초당 30만 km'라는 정보만 떠오른 채, 광년이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 감이 안 잡혔죠.그러다 ‘파섹’, ‘천문단위’ 같은 새로운 단위를 접하면서 우주에서는 단위의 개념 자체가 다르다는 걸 깨달았습니다.그리고 결국 알게 됐죠.우주에서 쓰이는 단위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우주를 이해하.. 2025. 6. 29.
우주의 설계도를 읽는 법 우주는 단순히 밤하늘에 수놓인 별들의 무대가 아닙니다. 천문학은 이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현상을 설명하고, 그 배경에 숨겨진 법칙과 원리를 밝혀내는 과학입니다. 처음에는 망원경을 통해 별과 행성을 관찰하며 출발했지만, 오늘날 천문학은 물리학, 수학, 우주론, 심지어 철학과 융합되며 시공간의 구조, 에너지의 흐름, 중력의 본질, 우주의 기원과 종말까지 다루는 종합 학문으로 발전했습니다.이 글에서는 천문학을 지탱하는 세 가지 핵심 이론, 즉 일반 상대성 이론, 빅뱅 이론,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 우주 과학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각각의 이론은 독립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이들은 모두 하나의 거대한 퍼즐처럼 서로를 보완하며 우주의 진실을 향한 길을 열어줍니다.1. 공간.. 2025. 6. 29.
달 탐사에 도전하는 민간 기업들 1. 국가 주도의 시대는 끝났다 — 민간이 이끄는 새로운 우주 경쟁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발을 디딘 건 1969년, 미국 NASA의 아폴로 11호가 성공했을 때입니다. 당시 달 탐사는 국가 간의 기술력 경쟁, 냉전 구도의 상징이자 과학적 자존심의 결정체였습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우주 탐사의 중심축이 국가에서 민간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정부의 지원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거대 예산과 기술 개발의 한계를 민간 기업들이 빠르게 보완하고 주도권을 가져가고 있는 중입니다.이 변화의 선두주자는 단연코 **스페이스X(SpaceX)**입니다. 일론 머스크가 2002년에 설립한 이 기업은 단순한 로켓 발사 대행 업체를 넘어 우주 산업의 구조 자체를 뒤흔드는 혁신 기업으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재사용 .. 2025. 6. 26.
여성 천문학자들이 남긴 위대한 유산 1. 별을 분류한 여성들 — 하버드 여성 컴퓨터와 과학의 숨은 주역들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미국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서는 전 세계에서 수집된 수천 장의 별 사진을 분석하고 정리할 인력이 필요했습니다. 이 작업은 반복적이고 수치 계산이 요구되는 고된 작업이었기 때문에, 과학자로서 인정을 받지 못하던 당시 여성들이 대거 채용되었죠. 이들은 “하버드 여성 컴퓨터(Harvard Computers)”라 불렸고, 단순한 보조 인력이 아니라 천문학사의 판도를 바꾼 숨은 주역들이었습니다.그중 한 명인 **윌리미나 플레밍(Wilhelmina Fleming)**은 가정부 출신이었지만 천문학에 대한 열정과 정확한 관찰력으로 수많은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했습니다. 그녀는 나중에 정식 연구원으로 임명되었고, 수백 개의 .. 2025. 6. 26.
우주의 끝은 있을까? 1. 우주는 어디까지 확장되는가? — 빅뱅 이후의 팽창 이론인류는 오랜 시간 동안 ‘우주는 어디서 시작됐으며 어디까지 존재할까?’라는 질문을 던져 왔습니다. 과거에는 우주가 정적이고 변하지 않는 고정된 구조라고 생각되었지만, 20세기 초반 이후부터 이러한 인식은 크게 바뀌게 됩니다. 바로 **빅뱅 이론(Big Bang Theory)**이 등장하면서부터입니다.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약 138억 년 전, 한 점에서 엄청난 폭발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로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팽창을 입증한 대표적인 증거가 바로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발견한 **적색 편이(Redshift)**입니다. 그는 먼 은하들이 우리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관측했고, 이를 통해 우주가 정적인 공간이 .. 2025. 6. 26.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 천문학자들의 입장 1. 수십억 개의 별, 수천억 개의 행성… 생명이 없다는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지구는 우리가 아는 한 생명이 존재하는 유일한 행성이지만, 과연 그럴까요? 현대 천문학계에서는 오히려 "지구만이 예외일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점점 힘을 얻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은하계(우리 은하)**에만도 약 1천억 개 이상의 별이 존재하고, 그 대부분이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활동하며 수천 개의 외계 행성을 찾아냈습니다. 특히, 이들 중 일부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골디락스 존(habitable zone)’, 즉 생명체 거주 가능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5. 6. 25.